반응형
헤일스톤 수열
-
[백준] 3943 헤일스톤수열 with PythonPS 2023. 4. 4. 17:09
📌 BOJ 3943 헤일스톤수열 💡 조건 헤일스톤 수열은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. n이 짝수라면, 2로 나눈다. n이 홀수라면, 3을 곱한 뒤 1을 더한다. 헤일스톤 추측은 임의의 양의 정수 n으로 수열을 시작한다면, 항상 4, 2, 1, 4, 2, 1,...로 끝난다는 추측이다. 이 문제에서는 1이 나오면 수열이 끝난 것으로 처리한다. n이 주어졌을 때, 이 수열에서 가장 큰 값을 찾아 출력하는 문제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(1 ≤ T ≤ 100,000)가 주어진다. 다음 줄부터 T개의 줄에는 헤일스톤 수열의 시작값 n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00,000) 구현, 시뮬레이션 유형읨 문제 🔖 예제 및 실행결과 예제 1 4 1 3 9999 100000 실행결과 1 1 16 101248 10..